728x90
■케이블 업체
- 신화케이블
- 오성전기
- 한국 미스미
- 진로종합케이블(LS)
전선 | 전선이란 전기를 전달하기 위한 선으로 나선, 절연전선, 케이블 및 코드 등의 총칭이다. |
절연전선 | 절연전선이란 구리, 알루미늄 또는 각각의 합금의 단선 또는 연선을 적당한 절연물로써 완전히 피복 절연된 것을 이른다. |
케이블 | 케이블이란 한쌍의 절연전선 위에 또는 2쌍 이상의 절연전선을 연합한 것 위에 적당한 금속 또는 절연물로 완전히 피복 보호한 것이다. |
코드 | 전선중에 일반적으로 유연성을 갖고 주로 옥내(예로 가정 제품의 리-드선)에 쓰이는 것을 이른다. 도체경이 가는 선으로 300V 이하의 사용전압에 쓰인다. |
공칭 단면적 | 공칭 단면적이란 도체의 굵기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체의 계산단면적을 절상, 또는 절하하여 수치를 반올림(Round-Off)한 것이다. |
공칭 전압 |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이른다. |
자켓형 케이블 | 다심 케이블의 선심 연합에 있어 선심을 마사, 견사, 기타 적당한 재료와 함께 연합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한 후 쉬스한 형태의 케이블을 이른다. 개재형이라고도 한다. |
충실형 케이블 | 다심 케이블의 선심연합 틈 사이를 채워 쉬스한 형태의 케이블을 이른다. |
선심 | 도체에 절연물을 피복한 것을 이른다. |
단심 | 선심이 1가닥 만으로 된 것을 이른다. |
다심 | 선심이 2가닥 이상의 것을 이른다. |
도체 | 전선에 전류를 흘리기 위한 금속 부분의 것을 이른다. 가장 일반적인 재질은 구리, 다음으로 알루미늄이다. |
AWG | American Wire Gage의 약자. 미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도체치수 규격이다. |
심선 | 전선의 도체를 이른다. |
소선 | 도체를 형성하는 한가닥의 선을 이른다. |
단선 | 도체가 1가닥의 소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이른다. |
연선 | 소선을 2가닥 이상 꼬아 형성된 도체를 이른다. |
동심연선 | 소선을 동심원상으로 연선하는 것을 이른다. |
집합연선 | 도체에 있어 가는 소선(세선)을 일괄하여 동일방향으로 연선하는 것을 이른다. |
복합연선 | 집합연선 또는 동심연선된 도체 2가닥 이상을 다시 연선한 것을 이른다. |
가요성 | 도체에 있어 유연성을 주는 연선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집합연과 복합연이 사용된다. |
피치(Pitch) | 선심, 도체 등을 연합할 때의 꼬임길이, 일반적으로 충심연경 또는 외경의 배수로 표시된다. |
충심경 | 동심연선이 되는 최외층의 소선 중심을 지나는 원의 직경을 이른다. |
S(우), Z(좌)연 | 연선 또는 선심의 연방향에 대하여 좌측 그림(A)을 S연(우연), (B)을 Z연(좌연)이라 한다. |
절연체 | 도체를 피복하여 사용전압에 견디고 각도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. |
대연 | 선심 2가닥을 서로 꼬아 연합하는 연선 |
차폐층 | 전계 또는 자계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층을 이른다. 일반적으로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재료 또는 철 등의 자성재료가 쓰이며, 이것을 절연선심 또는 선심연합 위에 적용한다. |
도전성 재료만의 경우를 정전차폐층, 도전성 재료와 자성재료의 조합을 전자차폐층이라 한다. | |
횡권차폐 | 동선 등을 나선형태로 감아 차폐시키는 것을 이른다. |
편조차폐 | 차폐 방법의 하나로 동선 등을 망상으로 직조한 것을 이른다. |
쉬스 | Plastics류를 사용한 절연선심의 보호 피복을 이른다. (외피, 자케트) |
외장 | 케이블을 기계적으로 보강할 목적으로 케이블의 적당한 장소에 적용하는 금속성의 피복으로 강대권, 금속선의 편조 등이 있다. |
캡타이어 쉬스 | 캡타이어 케이블 및 캡타이어 코드 등에 쓰이는 강한 외피를 이른다. |
LAN Cable | 근거리통신망 즉 한정된 지역 내에서 작업단위부서, 건물을 연결해 고속통신을 하기 위해 개발된 전선. |
Square(스퀘어) | 제곱밀리미터(mm2) |
Core | 피복 안 전선속에 도체의갯수 |
- 부하최대전류<차단기<(분기차단기<메인차단기) <정격전류 < 전선허용전류
차단기정격은 부하최대전류의 1.25배 이상, 전선허용전류는 차단기 정격 전류의 1.1배이상
'전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S232 9Pin 배열도 (0) | 2021.06.07 |
---|---|
전기센서의종류 (0) | 2021.05.31 |
타워램프(HY시리즈)배선도 (0) | 2021.05.31 |
키류스 KL-CTDS(토크컨트롤러) 핀배열 (0) | 2021.05.31 |
모터과부하 확인사항 (0) | 2021.05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