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전기안전관리

절연저항측정

by Ry_Min 2021. 4. 22.
728x90

■절연저항 측정

  • 절연저항
    절연된 도체에 직류전압을 가했을 때 절연체의 나타내는 전기 저항보통 절연된 전기회로 및 전기기계의 권선등 지  표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저항을 말함. 절연된 도체의 절연 저항이 매우 크기 때문에 측정값을 메가 단위이기때문에 "메가테스터기"로 절연저항 측정

 

  • 측정목적
    전기설비 절연물의 열화나 손상이 일어나게 되면 누설전류가 발생하여 감전이나 화재로 이어지는것을 방지. 통신선의 유도 장해가 발생할 수 있고 전력 손실 발생되기때문에 절연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. 전기설비의 안전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점검을 통해 전기의 누설 가능성을 검사

 

  • 주의사항 
    절연저항은 흡수전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류의 측정 시간을 정한다(1~2분) 측정 전 측정 선로의 잔류전하를 방전 시킨다.(차단기 Off상태에서 측정),전압,온도,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.(절연저항 값은 온도,습도,기기의 표면상태,인가전압 및 시간등에 따라 변한다.)

 

 

절연저항 측정기준

  • 측정기기
    Sh-1000(서한)

'전기안전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전기안전관리자 항목별 점검 주기  (0) 2021.05.20
필수 장비  (0) 2021.04.23
Utility  (0) 2021.04.22
진,지상  (0) 2021.04.21
전선 선정  (0) 2021.04.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