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전기용어

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

by Ry_Min 2021. 7. 7.
728x90

중성선(N, Neutral conductor)과 접지선(Earth)의 정의 및 용도

 

  • 중성선(N상 : Neutral conductor 또는 neutral wire)
    중성선(N: Neutral conductor) : 단상3선식의 경우나 3상 교류 계통에서 변압기를 Y결선 하는 경우에 그 중성점에 접속되는 전선(인출한 선)을 말함. 배전계통에서는 일반 상선 사이의 선간전압 이외에 상선(R, S, T 또는 A, B, C )과 중성선 사이의 전압, 즉 상전압의 사용이 가능하며 선간전압은 동력용으로 사용하고, 상전압은 전등용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.
    전기공급방식이 34선식, 12선식 등에서 접지선과 달리 전기회로를 구성하여 부하에 전류를 공급함
    380/220 34선식 공급방식의 경우 RS, 또는 RT 등 상선을 이용하는 경우 380V의 전압을 RN, SN, TN을 연결하는 경우 220V 전압을 사용하게 됨

 

■ 접지선(Earth)

  • 접지선(Earth선) : 접지선은 대지의 접지극과 연결된 선을 말함
    부하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고 대지와 등전위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정상적인 전기회로 이외의 누설전류 등을 대지로 귀로시켜 인축을 전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

 

■ 중성선(N: Neutral conductor)과 접지선(Earth)의 차이점 및 유의사항

 

  • 가장 큰 차이점은 중성선은 정상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접지선과 달리 일반적인 경우 전기회로의 일부로 전기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시 전류가 흐르는 상태 즉 통전 상태를 유지하게 됨
    중성선은 일반적으로 접지선에 가깝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내선규정에서는 전압선으로 분류되어 있음

 

  • 접지선은 지중의 접지극(대지)과 등전위를 만들거나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전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정상전인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(일반적인 건축물의 경우)

 

  • 중성선에는 상전류의 20%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하지만 이는 불평형 전류만을 고려한 값이며 비선형부하(정류기, 인버터, UPS, 컴퓨터, 모니터, 복사기 등)나 전기로, 용접기 등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를 발생하는 부하가 있을 경우는 다름

 

  • 이 경우에는
    에 해당하는 전류가 중성선에 흐르게 됨. 상고조파전류합성이란 정상과 역상고조파는 벡터합이고, 영상고조파는 스칼라 합을 의미함. (민원사례를 보면 상전류보다 중성선의 전류가 더 큰 경우가 있고 그 원인의 대부분은 고조파에 의한 것이었음)

 

※참조 문헌 : 국내 전기설비기술기준

 

'전기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KEC 전선의 선정과 식별규정  (0) 2021.05.22
전기용어  (0) 2021.04.24